유용한 정보를 배우고 나눕니다.
ADHD 개요를 알수 있는 연구 본문
2016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발행한 연구인데요 아래의 이유로 추천합니다.
-
ADHD의 전반적인 개요를 알수있는 연구이기도 하고
-
그간 혼재되어 떠도는 ADHD관련 계량 수치들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연구
-
무엇보다 저자로 참여한 분들이 14명이나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ADHD관련 연구자들(의사분들)이 어떤분들이 있는지 알수있는 연구자료 이기도하여 공유합니다.
연구명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2016,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연구 출처 : 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06613
* 간단정리는 저의기준 유용한 정보일 수 있고, 연구에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꼭! 전문을 읽으시길를 권합니다.
[간단정리]
1. ADHD의 평균적인 유병률은 DSM-5에 따르면 아동은 약 5%, 성인은 약 2.5%를 보인다.
2. 발병연령의 경우 7세 이전의 발병비율이 91.6%, 97.0%로 대부분의 환아들은 학령기 초기 이전에 발병하는 것으로 본다
3. 과잉행동의 경우 청소년기 이후가 되면 다른 양상에 비해 많은 호전을 보인다.
- 6~15세 소아청소년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과다행동의 경우 6%만 만성경과를 보였다고함
4. 충동성(예:순서를 기다리기 힘들어하거나 부적절하게 끼어듦 질문전에 대답하기)은 두가지로 구분하여 설명
- 동기차원(motivational domain) : 처벌의 민감도와 보상에 대한 무관심, 수동적회피학습, 만족지연의 요소를 포함
- 인지차원(cognitive domain) : 억제적 조절과 그외 일반적 처리과정의 결함을 포함
5. 충동성은 과잉행동에 비해 조기호전이 어렵고, 오래지속되는 경과를 보임
- 과잉행동-충동성의 조합이 성인기에 더많은 범죄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인자로 봄
6. 실행기능 : 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문제 해결 set를 유지하는 능력
- 실행기능 구성요소 : 억제적 조절(inhibitory control), 간섭조절(interference control),
작업기억(working memory),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
7. ADHD 아동들은 반응억제 (reponse inhibition), 경계(vigilance), 작업기억(working memory),
계획하기(planning) 등의 실행기능 영역에서 결함을 보인다고 함
8. ADHD 환아에서 시간감각의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있음
9. 연구에 따르면 성인ADHD중 경도 또는 중등도 우울증상이 동반된 ADHD의 경우 methylphenidate(MPH)
사용이 효과적이라고함. (사전에 환경적우울인지 생물학적 우울인지에대한 확인이 선행되어야한다고함)
'about ADH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 비약물적치료 中 : 뉴로피드백 (0) | 2021.01.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