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
유용한 정보를 배우고 나눕니다.
한국에만 엄친아라는 단어가 잇는줄 알았는데 미국에도 있다는걸 알게해준 인물이 있다. 아마 엄친아 영역에서 끝판왕이 아닐까 하는데 다들 같은생각인지 유튜브 영상에 여럿의 인생을 한번에 사는 사람이라는 댓글이 주를 이룬다. 엄친아 끝판왕이신 이분은 Jonny Kim 으로 현재 나사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선정된 한국계 미국인 우주비행사이다. youtu.be/szkJlHqriDY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해군에 입대해 네이비씰 저격수로 이라크 파병도 하였고 탁월한 능력의 보유자로 훈장도 여러개 받으셨다. 돌아와 수학을 전공하고 하버드 의과대학 박사과정에 입학, 졸업뒤 내과의사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나사의 우주비행사 모집을 보고 지원, 2024년 달에가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임무에 투입될 우주비행사가 되었다. 유..
Ad Astra는 일론머스크가 자신의 자녀들을 위해 세운 학교이다. 초기에는 spaceX사무실 안에 학교가 있었고 튜터도 spaceX엔지니어들이 있었던 걸로 아는데, 당시에도 머스크는 재정적지원외에는 관여하지 않고 머스크의 자녀들과 spaceX의 로켓엔지니어 자녀 몇 명만다니는 학교였다. 18년에 Ad Astra에 관한 기사를 보고, 메인 홈페이지 외에 콘텐츠가 없던 때부터 주기적으로 홈페이지를 방문했었다. 머스크가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라니 어찌 관심이 안갈수가 있나... 내가 일론머스크를 좋아하게 된 계기는 닉보스트롬의 책 '슈퍼인텔리전스'를 통해서였다. 이 책을 통해 머스크가 셀러브리티ceo가 아닌 인류의 미래에 진지하게 걱정하는 사람이란 걸 알았다. 디스토피아의 근간이 인간의 비윤리와 AI와의 지능격..
2016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발행한 연구인데요 아래의 이유로 추천합니다. ADHD의 전반적인 개요를 알수있는 연구이기도 하고 그간 혼재되어 떠도는 ADHD관련 계량 수치들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연구 무엇보다 저자로 참여한 분들이 14명이나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ADHD관련 연구자들(의사분들)이 어떤분들이 있는지 알수있는 연구자료 이기도하여 공유합니다. 연구명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2016,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연구 출처 : 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06613 * 간단정리는 저의기준 유용한 정보일 수 있고, 연구에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꼭! 전문을 읽으시길를 ..
뉴로피드백에대해 궁금해서 관련 보다가 가장 최근연구로서 그간의 연구내용들을 정리한연구라서 전반을 보기엔 좋은 연구자료라 올려봅니다. 연구명 : 뉴로피드백 : ADHD 아동의 비약물적 대안치료의 가능성 [간단 요약] 1. 뉴로피드백이란 : ADHD의 비약물적 치료의 일종 ( 비약물치료: 행동부모훈련, 인지행동치료, 시회성프로그램등) 2. 정의 : 뉴로피드백은 바이오피드백의 일종으로 환자가 본인의 뇌파를 감지 장비를 통해 인지하고, 스스로 뇌파를 조절하는 훈련을 통해 환자가 의도대로 뇌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비침습적인 치료 기법 3. 시행시점 :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첫 뉴로피드백 치료가 1976년에 시행 4.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 20세기 전 : 실험군이 넘 적고 검증이어려움 (초기연구성과는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