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용한 정보를 배우고 나눕니다.

Ad Astra 본문

about 배움

Ad Astra

quasar2021 2021. 1. 8. 12:26

Ad Astra는 일론머스크가 자신의 자녀들을 위해 세운 학교이다.

초기에는 spaceX사무실 안에 학교가 있었고 튜터도 spaceX엔지니어들이 있었던 걸로 아는데,

당시에도 머스크는 재정적지원외에는 관여하지 않고 머스크의 자녀들과

spaceX의 로켓엔지니어 자녀 몇 명만다니는 학교였다.

 

18년에 Ad Astra에 관한 기사를 보고, 메인 홈페이지 외에 콘텐츠가 없던 때부터 주기적으로 홈페이지를 방문했었다.

머스크가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라니 어찌 관심이 안갈수가 있나...

 

내가 일론머스크를 좋아하게 된 계기는 닉보스트롬의 책 '슈퍼인텔리전스'를 통해서였다.

이 책을 통해 머스크가 셀러브리티ceo가 아닌 인류의 미래에 진지하게 걱정하는 사람이란 걸 알았다.

디스토피아의 근간이 인간의 비윤리와 AI와의 지능격차에서 온다는 우려에서,

이를 고민해보고자 open AI 설립하는등 인류의 보다나은 미래를 위해 개선하고자 시도하는 점이 존경스럽다.

개인적으로 인류 천재중 한 명이 진지하게 인류의 미래를 고민하고 행동하는 걸 보면서 안심이 되는 느낌이랄까...

그 이후로 가십거리 뉴스들을 통해 머스크의 기사를 볼 때도 나의 존경심은 변하지 않는 것 같다.

 

현재의 Astra Nova 는 Ad Astra에서 파생되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과정이 되었다.  

이후 코로나19상황이 오면서 full-time온라인 학교를 위해 나아가고 있다.

 

이후에 좋은인연으로 Astra Nova 파운더들과 연결되었고,

온라인상으로나마  Astra Nova의 교육과정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정말 모든것을 함께 나누고 발 전하는 과정을 성실하고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

그리고 전세계 Astra Nova와 뜻을 같이 하는 모든 이들과 함께 성장하고자 한다.

 

Astra Nova의 교육과정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윤리의식안에서의 기술의 모든 가능성을 실험하는 장이다.

세부 교과정에 정해진 형식은 없다. 목적에 맞는 모든 방법들을 학생들과 시도하고 발전시킨다. 

마치 스페이스엑스가 우주선 발사 성공을 위해 끊임없이 실험을 거듭하며 성공률을 높이는 것처럼 유연한 사고 안에서 발전한다.

 

Astra Nova의 목표는 인간의 윤리가 바탕이 된 기술탐구이다.

때문에 입학시험과 교과정은 윤리에 대한 고민을 아이들이 충분히 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아래 영상은 입학시험의 일종으로 보기엔 간단해보이나 많은 시사점이 있는 입학 과제이다.

Conundrum은 시리즈별로 계속 나오고 있으며  연령과 국적에 상관없이 많은 배울점을 함축하고 있다.

 

Conundrum 을 활용하는 방법은 나중에 따로 쓸 예정인데,  
참고로 만 5세반인 나의 아들은 Puppet Master 를 1번으로 꼽았다.  


The Lake Conundrum
https://youtu.be/2QcnAehFwR4

출처 : SH(5yrs)

 

 

 

 

'about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tronut Jonny Kim  (0) 2021.01.09